분자생물학이란??
분자생물학은 분자유전학(Molecular genetics)과 용어를 같이 한다고 해도 무방하며, 용어 자체만 보면 흔히 유전자, 유전자 산물 및 유전에 관련된 분자들의 생물학을 의미합니다.
분자생물학의 보다 넓은 의미의 정의는 분자적 관점에서 생명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합니다.
분자생물학은 분자유전학(Molecular genetics)과 용어를 같이 한다고 해도 무방하며, 용어 자체만 보면 흔히 유전자, 유전자 산물 및 유전에 관련된 분자들의 생물학을 의미합니다.
분자생물학의 보다 넓은 의미의 정의는 분자적 관점에서 생명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합니다.
분자생물학의 발달은 1940년대에 DNA가 유전자의 본체임이 밝혀지고, 동시에 DNA의 유전정보가 RNA를 통하여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 합성을 지배한다는 사실이 차츰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953년 J.D.웟슨과 F.H.C.크릭에 의하여 DNA의 2중나선구조의 모형이 제출됨에 이르러 새로운 단계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분자생물학의 주류는 DNA의 복제 및 단백질의 생합성을 중심으로 하여 유전의 본질 및 유전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나아가서 생물체의 조절작용이나 진화의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되었다. 따라서, 분자생물학의 중심이 되는 것은 분자유전학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근육의 기본이 되는 수축단백질인 액토미오신이라는 단백질의 분자구조를 바탕으로 근육의 수축운동을 설명한다든지, 뇌에 있어서의 기억의 기작을 단백질이나 RNA의 미세한 구조의 변화로 설명하려는 일 등도 분자생물학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분자생물학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단백질의 효소와 생합성을 지배하는 DNA의 구조와 특성을 바탕으로, 중요한 생명현상을 설명하려는 생물학의 한 분야를 말합니다.
'미생물 & 유전공학 관련 principle & meth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원리 및 실험방법 (9) | 2014.02.07 |
---|---|
생물의 분류 (0) | 2014.02.07 |
단백질 정량 방법 (0) | 2014.02.04 |
Solid phase extraction (0) | 2014.02.04 |
미생물의 보존 (2) | 2014.02.03 |